본문 바로가기
뷰파인더/컬러 · 보정

블렌드 모드 : Linear Burn과 Linear Dodge

by a.timegrapher 2020. 10. 29.

Linear Burn

Linear Burn은 노출은 감소, 채도 값은 증가하게 하는 컬러 번과 유사한 모드입니다. 컬러 번과 다른 점은 콘트라스트의 변화가 없는 모드라서 컬러 번과 비교해 채도가 낮습니다. 멀티플라이와 비교하면 보다 어두운 블렌딩 효과를 보여줍니다.  화이트 이미지 소스에도 색이 적용되기 때문에 화이트 영역 나타나지 않습니다. 블렌딩 하고자 하는 두 레이어의 순서를 바꾸어 적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즉, 명도 단계 이미지와 일반 사진 이미지 중 어느 것을 상위 레이어로 위치시켜 블렌드 레이어로 정하고 리니어 번을 적용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적용 원리는 모르는 것이 약입니다.^^ 물론 아는 것이 힘인 경우에 해당하는 전문가 분들도 계시겠지만요. 간단히 요약하면... 블렌딩 레이어의 채널 값과 베이스 레이어의 채널 값을 더한 후 255를 빼주는 것이 결과 값인데  두 레이어의 채널 값의 합이 255를 넘지 않으면 0으로 처리되는구나?!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R : 255+35=290 여기서 255를 빼면 35.  ∴ 블렌딩된 이미지의 R값은 35입니다.

G : 186+62=248 여기서 255를 빼면 0 이하입니다. ∴ 블렌딩된 이미지의 G값은 0입니다. ∵ 0보다 낮은 채널 값은 없으니까요.

B : 0+229=229 역시 255 보다 낮은 값이므로 블렌딩 이미지의 B값은 0입니다.

 

 

Linear Burn 적용 전

 

Linear Burn 적용 후

 

 

왼쪽 명도단계 그라디언트는 베이스 레이어 - 오른쪽 블루 솔리드색상이 블렌드 레이어

 

 

베이스레이어의 명도단계에 따라 전체적으로 어두워졌습니다. 베이스의 화이트 영역에서는 블렌드 레이어의 색상이 그대로 나타납니다. 마치 블렌드 레이어에 블랙 그라디언트를 적용한 것과 같은 효과입니다. 따라서 예상하지 못한 엉뚱한 컬러가 블렌딩의 결과로 나타나는 경우가 없는 블렌딩 모드입니다. 사진의 특정 부분에 대해 자연스럽게 채도를 높이고자 한다면 레이어를 복사해 두 레이어를 리니어 번 모드를 적용하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물론 특정 부분 이외의 영역은 마스킹해야겠죠. 이해를 돕기 위해 간단한 적용 예를 만들어봤습니다. 하늘의 노출을 감소시키고 채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Linear Dodge

Linear Dodge는 Linear Burn의 상대적인 모드입니다. 노출은 증가, 채도는 감소 그리고 콘트라스트는 변화 없음이 이 모드의 특징입니다. 베이스 레이어와 블렌드 레이어의 채널 값을 단순히 합하는 블렌드 모드라서 노출값이 높아지게 되죠. 밝기의 한계가 255이므로 더해서 255를 초과하는 값은 255가 됩니다.

R : 255+35=290 따라서 블렌딩 된 이미지의 R값은 255입니다. ∵255보다 높은 채널값은 없으니까요.

G : 186+62=248 블렌딩 된 이미지의 G값은 248입니다.

B : 0+229=229 블렌딩된 이미지의 B값은 229입니다.

 

 

 

Linear Dodge 적용 전

 

 

Linear Dodge 적용 후

 

 

 

 

 

콘트라스트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노출을 높이는 보정에 사용합니다. 따라서 역광 효과를 줄 때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순광 및 사광의 경우 피사체의 앞쪽에서 비추는 광원이기 때문에 노출과 콘트라스트가 동시에 높은 경우죠. 역광의 경우 콘트라스트가 높지 않은 광원이므로 Linear Dodge모드를 효과적인 보정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원색의 베이스레이어를 무채색 블렌드 레이어와 블렌딩 해서 채도를 낮추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데 파스텔 톤과 같은 분위기를 만들 수 있습니다.

 


 

Linear Burn과 Linear Dodge 모두 블렌드 모드 : Color Burn과 Color Dodge 에서 살펴본 Special Blend Mode에 속하는 모드입니다. 그리고 콘트라스트의 변화 없이 노출과 채도를 변화시키는 모드입니다.

 

 

 

 


보정 카테고리의 포스트는 MacOS, 포토샵CC 영문판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와 다른 환경에서 실행하는 경우 상이한 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이론적 내용보다는 사진 보정에서 사용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작성했습니다. 포스팅의 내용 중 오류 또는 첨가해야 할 내용이 있을 경우 해당 글 내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오류 및 정보 수정이 필요한 경우 댓글로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정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unslashpixabay 등에서 다운 받은 로열티 프리 이미지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