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타임그래퍼's30

잘 찍은 인물사진 프레임 or 크롭 '관절이 지나가는 곳을 크롭 하지도 말고 프레임으로 자르지도 말아라!'. 인물 사진을 촬영하는 널리 알려진 법칙입니다. 황금비율처럼 본능적으로 균형미를 느끼게 되는 그런 느낌에 충실한 법칙입니다. 목, 발목, 손목, 무릎, 허리 등 에서 크롭 하거나 프레임으로 잘라내면 또는 배경이 만들어내는 선이 관절을 지나가게 되면 뭔가 찝찝하고 뭔가가 손실되는 느낌이 들죠. 아래 그림은 풀샷으로 촬영한 모델을 예로 들어 관절의 위치와 크롭 할 위치를 표시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인물의 머리 위 공간이 없으면 '답답하다', '왜 내 머리를 잘랐냐?'라고 따지던... 그러던 때가 있었던 것 같은데 요즘은 보는 눈이 많이 높아졌습니다. 휴대폰으로 촬영을 하는 아마추어분들도 인물의 얼굴에 집중적으로 다가가는 익스.. 2020. 11. 12.
블렌드 모드 : Normal Group Normal Group은 블렌드 모드의 맨 위에 위치한 그룹입니다. Normal과 Dissolve 모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ormal 모드는 블렌드 레이어의 Opacity값을 조절해 베이스 레이어가 드러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두 레이어를 겹쳐 놓은 상태가 Normal 모드입니다. Dissolve모드는 한 이미지가 흩뿌려지는 것처럼 사라지면서 다른 이미지가 드러나는 효과인데 점묘 화법 또는 스케치를 한 듯한 효과를 만들 수 있기도 하죠. 두 mode 모두 레이어 간 픽셀 값이 혼합되는 것이 아니라 Opacity(Fill) 값에 의해 블렌드 레이어가 드러나는 정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Opacity값과 Fill값이 같다면 그 효과가 동일한 모드입니다. 즉, Opacity 값을 7.. 2020. 11. 10.
블렌드 모드 : Luminosity Component Group의 마지막 블렌드 모드 Luminosity입니다. 베이스 레이어의 채도와 컬러를 유지하고 블렌드 레이어의 광도로 효과를 입히는 모드입니다. 3가지 사용법을 적용한 이미지를 예로 살펴보고 Luminosity를 눈으로 이해해보려고 합니다. 01. 이미지의 밝기와 콘트라스트를 조절하다 보면 색상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데 색상의 변화 없이 밝기를 조절할 때 유용한 모드죠. 그래서 Component Group 중 유일하게 제법 사용하게 되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예를 들어 촬영한 사진의 콘트라스트를 높여야할 필요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적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먼저 Adjustment Layer에서 Curve를 선택해 블렌드 레이어를 만들고 명부 영역의 커브는 상향 조정하고 암부 영역 커브를.. 2020. 11. 9.
블렌드 모드 : Color Color는 Component Group의 세 번째에 위치한 블렌드 모드입니다. 블렌드 레이어의 채도와 색조 그리고 베이스레이어의 광도가 유지되는 모드로 Hue mode와 Saturation mode 두 가지 모드의 부분적 조합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적용 예를 통해 눈으로 원리를 익혀보겠습니다. 원본 이미지를 2등분해 왼쪽은 흑백사진으로 변경하고 블루 솔리드 컬러 레이어를 블렌드 레이어로 설정한 예입니다. 블렌드 레이어에 Color mode를 적용한 결과 베이스 레이어의 광도는 유지되었고 블루 레이어의 채도와 색조가 유지되는 방식으로 블렌딩 되었습니다. Color mode는 블렌딩 하고자 하는 두 레이어의 순서를 바꿔 Luminosity mode를 적용했을 때 동일한 블렌딩 결과를 갖는 특징이 .. 2020. 11. 9.
블렌드 모드 : Saturation 이번에는 채도 Saturation입니다. Component Group의 두 번째에 위치한 블렌드 모드죠. 간단히 살펴보면 베이스 레이어의 광도와 색조는 유지하면서 오직 채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는 모드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베이스 레이어의 Saturation을 변화시키는 모드이고 Hue모드처럼 베이스 레이어가 색조가 없는 흑백 이미지라면 아무 변화가 없는 모드입니다. 블렌딩 레이어의 색상과 관련 없이 오직 채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베이스 레이어의 채도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즉 블렌드 레이어의 컬러가 Red이든 Blue이든 Color Picker에서 S(Saturation)값이 같으면 동일한 강도의 채도 값으로 블렌딩 됩니다. 또는 Adjustment Layer에서 Hue/Saturatio.. 2020. 11. 9.
블렌드 모드 : Hue Component Group은 포토샵 블렌드 그룹의 마지막 그룹입니다. 서로 다른 기본 색상 조합을 사용해서 표현하는 그룹으로 Hue(색조), Saturation(채도), Color(색상), Luminosity(광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먼저 Hue입니다. Hue는 베이스 레이어의 광도 및 채도를 유지하면서 블렌드 이미지의 색조를 베이스 레이어에 반영하는 효과입니다. 즉, 베이스 레이어의 광도와 채도는 그대로 유지되고 컬러만 변경되죠. 따라서 베이스레이어에 색상값이 없다면 컬러 변경은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적용 원리는 복잡합니다. 눈으로 익히는 방법으로서 실제 적용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투명 레이어를 생성해 원본 사진 위에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Hue모드로 적용하고 색칠 브러시를 이용해 핑크색 꽃.. 2020. 11. 8.
블렌드 모드 : Divide Cancelation Group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블렌드 모드인 Divide 모드입니다. 이 모드는 Subtract와 반대의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적용 원리도 보다 복잡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생략하고 직접 적용된 이미지를 통해 눈으로 효과를 이해해보려고 해요. 사진 이미지, 텍스트 그리고 솔리드 컬러 레이어를 베이스 레이어로 하고 명도 10단계 이미지를 블렌딩 레이어로 하여 디바이드 모드를 적용한 결과가 아래와 같습니다. ↓ 블렌드 레이어의 하이라이트와 화이트 영역에서는 베이스 레이어의 컬러가 드러납니다. 블렌드 레이어의 화이트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베이스 레이어 원본처럼 표현되죠. 반면 블랙 및 암부 영역은 밝게 표현되기 때문에 암부 디테일을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한다고 합니다. 명도단계 이.. 2020. 11. 7.
블렌드 모드 : Subtract 인버전 그룹 속 또 다른 소그룹 Cancelation Group 중 첫 번째 Subtract모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적용 원리가 간단하므로 다루지 않던 원리를 요약해보도록 하죠.^^ 이름 그대로 뺄셈 모드입니다. 베이스 레이어의 채널 값에서 블렌드 레이어의 채널 값을 빼준 값이 적용되는 심플한 블렌드 모드입니다. 채널 값이 '0'이하면 모두 '0'으로 표현되고요. 블렌드 레이어의 블랙 및 쉐도우 영역은 베이스 레이어 컬러가 드러나게 되고, 블렌드 레이어의 화이트 및 하이라이트 영역은 베이스 레이어의 컬러가 블랙 및 어두워진 컬러로 드러납니다. ↓ 명도 단계 레이어를 블렌드 레이어로 해서 Subtract를 적용하면 보다 쉽게 이 모드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적용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Subtrac.. 2020. 11. 7.
블렌드 모드 : Exclusion Difference와 비슷한 모드지만 '50% Grey'가 그대로 드러나는 차이점이 있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그 외 블랙 영역은 디퍼런스와 같이 투명하게 표현되고 화이트 영역 역시 반전 컬러로 표현됩니다. 두 블렌드 모드의 위치를 바꿔 적용해도 결과 값은 같습니다. 적용 원리는 역시 복잡합니다. 어차피 눈으로 익히는 보정과정이라 역시 과감하게 생략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이미지, 솔리드 컬러, 텍스트에 Exclusion을 적용한 예입니다. 50% Grey를 기준으로 화이트 방향으로는 반전이 시작되고 블랙 방향으로는 투명도가 높아집니다. ↓ 솔리드 그레이 레이어와 함께 블렌딩해서 채도가 빠진 다소 색 바랜 매트한 이미지를 만들 때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보여줍니다. 아래 이미지는 채도와 대비가 높은 이미지.. 2020. 11. 6.
블렌드 모드 : Difference 이제부터는 Inversion Group입니다. 블렌드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의 차이점에 기초하여 블렌딩하는 모드로 실용적인 효과를 만들어 내기위해 사용하는 모드를 모아놓은 그룹입니다. 블렌딩의 결과가 심미적 아름다움을 목적으로 하기 보다는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내는 보정의 과정 중 하나로서 사용됩니다. 인버전 그룹의 첫번 째로 살펴볼 모드는 Difference입니다. 디퍼런스 모드는 블렌드 레이어와 베이스 레이어 각각의 R, B, G 채널값의 차이의 절대값을 표현합니다. 그 차이값이 0이면 블랙으로 표현되죠. 블랙영역은 투명하게 표현되고 화이트 영역은 반전된 블렌딩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이해를 돕기위한 이미지를 준비했습니다. ↓ 반전그룹에 속한 디퍼런스라는 이름에 걸맞게 블랙에서 명도단계를 높여 화이트로 .. 2020. 11. 5.
블렌드 모드 : Hard Mix Contrast Group의 마지막 블렌드 모드 Hard Mix입니다. 콘트라스트 그룹 중 유일하게 50% Grey영역이 투명하게 표현되지 않는 스페셜 블렌드 모드입니다. 블렌드 레이어의 각 R, G, B 채널 값을 베이스레이어의 R, G, B 채널에 추가하는 모드이기때문에 극단적인 효과를 만들어줍니다. 블렌딩의 결과 Black, White, Red, Green, Blue, Cyan, Magenta 그리고 Yellow 8가지 색으로만 표현되죠. 즉, 다른 색상은 없고 원색과 블랙 & 화이트로만 표현되는 특성이 있습니다. 혼합된 결과 R, G, B 채널의 값이 0과 255 둘 중 하나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비비드 라이트와 비슷하지만 보다 더 극단적인 블렌드 모드입니다. 따라서 Fill 값을 이용해 그 강.. 2020. 11. 4.
블렌드 모드 : Pin Light Pin Light모드는 Darken Group의 Darken과 Lighten Group의 Lighten을 조합한 블렌드 모드입니다. 모든 중간톤을 제거하는 모드죠. 50% 그레이를 기준으로 어두운 쪽은 Darken 모드가 적용되고 밝은 쪽은 Lighten 모드가 적용됩니다. 50% 그레이 영역은 투명하게 표현되고요. 그렇다 보니 결과 값이 매우 극단적인 효과를 보여주는데요. 패치 또는 얼룩 등이 드러나게 되어 일상적인 사진 보정에는 사용해본 적 없어요.^^ 따라서 직접적으로 이미지와 이미지를 블렌드 할 때 사용하기보다는 특정 효과 및 적용을 위한 adjustment layer를 생성하고 이 레이어에 Pin Light를 적용하게 됩니다. 이 방법은 추후 포스팅 또는 업데이트로 다뤄보겠습니다. ↓ 위와 다르.. 2020. 11. 3.
블렌드 모드 : Linear Light 오늘은 콘트라스트 모드 중 Linear Light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콘트라스트 그룹의 특징답게 Darken Group과 Lighten Group의 블렌딩 모드가 조합된 모드로 Linear Dodge와 Linear Burn이 합쳐진 모드입니다. 블렌드 레이어의 컬러 값이 최대한 유지되는 모드로 콘트라스트가 증가하지만 모든 영역에서 컬러 적용이 우선되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원하는 색감으로 분위기를 유지하고 싶은 경우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 주파수 분리법과 함께 사용되는 모드이기도 합니다. 중간 밝기의 50% grey를 기준으로 밝은 쪽은 리니어 닷지가 적용되고 어두운 쪽은 리니어 번이 적용됩니다. 명도 단계 이미지의 양 끝을 보면 블랙과 화이트 영역이 블렌드 레이어에 의해 컬러의 영향을 받는 것을 .. 2020. 11. 2.
블렌드 모드 : Vivid Light Vivid Light는 콘트라스트 그룹에서 네 번째 위치한 블렌드 모드입니다. 이름에서 느껴지듯 효과를 적용하면 비비드 해집니다. 컬러 번과 컬러 닷지가 조합된 효과를 보여주는 데요. 50% 그레이 밝기를 기준으로 어두운 쪽은 컬러 번이, 밝은 쪽은 컬러 닷지가 적용됩니다. 즉, 혼합되는 블렌드 레이어의 채널 밝기에 따라서 컬러 번과 컬러 닷지 효과가 적용되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 콘트라스트 그룹 중 하드 박스를 제외하고 가장 강력한 대비효과를 보여줍니다. 컬러와 대비를 극대화해서 표현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드죠. Special Blend Mode라서 같은 수치의 값을 적용해도 Opacity값과 Fill값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납니다. Opacity보다 Fill값을 조절하는 것이 대비 및.. 2020. 10. 31.
블렌드 모드 : Soft Light와 Hard Light 콘트라스트 모드는 Darken Group과 Lighten Group에서 서로 상대적인 효과를 만들어내는 블렌드 모드의 조합으로 전체적인 대비를 증가시키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앞서 대비를 강조하는 콘트라스트 그룹 중 가장 인기 있는 블렌드 모드인 Overlay를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콘트라스트 그룹의 Soft Light와 Hard Light를 다뤄보려고 해요. 늘 그렇듯 정말 복잡한 기술적인 내용 즉 블렌드 모드 적용 원리 등은 이해하기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과감하게 생략하고 실제 적용 예를 통해 쉽고 얕게 훑어보려고 합니다. Soft Light Soft Light모드는 대비를 높여주는 오버레이 모드와 비슷하지만 보다 부드러운 효과를 만들어줍니다. 대비가 높아지면서 채도 역시 증가하게 되는데 오버레이 모.. 2020. 10. 30.
블렌드 모드 : Darker Color와 Lighter Color Darker Color Darker Color는 픽셀을 혼합하지 않는 모드입니다. 두 레이어를 비교해 어두운 색상의 레이어를 칼같이 선택해 드러내는 모드죠. 전문적인 적용 원리를 보면 사실 그리 간단한 내용이 아닙니다. 하지만 여기선 적용 예를 살펴보면서 '아 이렇게 표현되는 블렌딩이구나?!'정도로 이해하는 선에서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그럼 적용 예를 보실까요? ↓ Lighter Color Lighter Color 역시 픽셀을 혼합하지 않는 모드입니다. Darker Color에 상대되는 모드로 두 레이어를 비교해 밝은 색상의 레이어를 선택해 드러내는 효과를 보여줍니다. 역시 극단적인 효과를 표현하는 모드라서 제겐 별로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그런 모드입니다. 다커 컬러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제로 적용되는 간단.. 2020. 10. 29.
블렌드 모드 : Linear Burn과 Linear Dodge Linear Burn Linear Burn은 노출은 감소, 채도 값은 증가하게 하는 컬러 번과 유사한 모드입니다. 컬러 번과 다른 점은 콘트라스트의 변화가 없는 모드라서 컬러 번과 비교해 채도가 낮습니다. 멀티플라이와 비교하면 보다 어두운 블렌딩 효과를 보여줍니다. 화이트 이미지 소스에도 색이 적용되기 때문에 화이트 영역 나타나지 않습니다. 블렌딩 하고자 하는 두 레이어의 순서를 바꾸어 적용해도 같은 결과를 얻게 됩니다. 즉, 명도 단계 이미지와 일반 사진 이미지 중 어느 것을 상위 레이어로 위치시켜 블렌드 레이어로 정하고 리니어 번을 적용해도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적용 원리는 모르는 것이 약입니다.^^ 물론 아는 것이 힘인 경우에 해당하는 전문가 분들도 계시겠지만요. 간단히 요약하면... 블렌.. 2020. 10. 29.
블렌드 모드 : Color Burn과 Color Dodge Color Burn Color Burn은 베이스레이어의 색상과 블렌드 레이어의 색상 대비를 높여 주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대비와 함께 채도도 매우 강해지는데 Multiply보다 더 어둡게 표현되죠. 포토샵 기능 중 Burn Tool과 유사한 효과를 보여줍니다. RGB 채널 중 가장 높은 채널 값과 가장 낮은 채널 값의 상대적 비율이 커지게 되면 채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원리에 의해 적용되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 Color Dodge Color Dodge는 베이스레이어의 색상과 블렌드레이어의 색상 사이의 대비를 줄여 미드톤을 포화시켜주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결과적으로 밝은 부분은 더 밝게 화이트와 블랙 영역은 변화 없게 만드는 모드죠. 대비 감소와 함께 채도도 낮아지는데 Screen보다 더 밝게 표현되거.. 2020. 10. 27.
블렌드 모드 : Darken과 Lighten Darken Group과 Lighten Group은 각각 상대적인 효과를 표현해주는 블렌딩 모드가 있습니다. 이미 앞서 살펴본 가장 인기 있는 모드인 Multiply와 Screen이 서로 상대적인 효과를 만들어주듯 그외의 블렌드 모드도 상대적인 효과를 만들어줍니다. Darken ↔ Lighten Multiply ↔ Screen Color Burn ↔ Color Dodge LinearBurn ↔ Linear Dodge Darker Color ↔ Light Color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모드외 나머지 모드는 생략하려고 했습니다만 어려워도 같이 공부하는 취지로 다뤄보기로 했습니다. 여유가 생긴다면 27가지 모드 모두를 훑어볼 예정인데요. 오늘은 Darken과 Lighten 모드에대해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Da.. 2020. 10. 26.
블렌드 모드 - Overlay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기 있는 블렌드 모드, 오늘은 세 번째 Overlay Mode입니다. 멀티플라이 모드와 스크린 모드가 합쳐진 블렌드 모드입니다. 베이스 레이어의 50% 그레이 영역을 기준으로 어두운 쪽은 멀티플라이 모드가 적용되고 밝은 쪽 영역은 스크린 모드가 적용되는 모드입니다.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의 강도를 올려주기 때문에 대비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비를 뜻하는 Contrast Group에 속하는 모드이죠. 대비가 증가하면 그에 따라 어두운 영역은 색상도 진하고 강하게, 밝은 영역은 색상이 밝고 연하게 표현됩니다. 그리고 오버레이 모드는 베이스 레이어의 밝기를 기준으로 적용되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두 블렌딩 레이어 중 어느 부분을 베이스 혹은 블렌드 레이어로 선택하는가에 따라 다른 효.. 2020. 10. 24.
블렌드 모드 - Screen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기 있는 블렌드 모드, 오늘은 두 번째 Screen Mode입니다. 스크린 모드는 두 레이어를 블렌딩해 보다 밝아지게 하는 효과를 주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그래서 Lighten Group에 소속되어 있죠. 베이스레이어와 블렌딩 레이어의 각 채널 값의 역수를 곱해서 표현되는 블렌딩 모드입니다. 보다 쉽게 요약하면 앞서 다뤘던 Multiply Mode와 정 반대의 효과를 보여주는데요. 화이트 영역은 그대로 노출되고 블랙 영역은 투명하게 취급됩니다. ↓ 스크린이 적용된 이미지를 보면 블랙색상은 표현되지 않고 있습니다. 블랙은 투명하게 표현되죠. 화이트는 그대로 화이트로으로 표현됩니다. 멀티플라이 모드처럼 베이스 레이어의 블랙과 화이트 사이의 점진 적인 그라데이션에 따라 효과가 적용됩니다... 2020. 10. 23.
블렌드 모드 - Multiply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인기 있는 블렌드 모드, 오늘은 첫 번째 Multiply Mode입니다. 멀티플라이는 두 레이어를 블렌딩해 보다 어두워지게 하는 효과를 주는 블렌드 모드입니다. 그래서 Darken Group에 소속되어 있죠. 다소 전문적인 느낌으로 설명하자면 베이스레이어와 블렌드레이어의 각 채널 값을 곱해서 만들어지는 효과입니다. 그래서 블렌드 모드 이름이 Multiply이고요. 0에서 255단계로 구성된 명도 단계에서 블랙은 빛이 없으니 채널값은 0이고 화이트의 채널값은 1입니다. 따라서 블렌드레이어의 채널값을 B라고 할 때 베이스레이어의 블랙영역과 겹치는 블렌드레이어의 B값이 만들어내는 멀티플라이 효과는 블랙으로 표현되게 됩니다. '0(블랙) X B = 0'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베이스레이어의 화.. 2020. 10. 22.
블렌드 모드 Blend Mode 블렌드 모드란 말 그래도 두가지 레이어를 블렌딩 해서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방법입니다. 블렌딩 효과는 Image 뿐 아니라 Text, Image Source, 그리고 adjustment layer 등에 적용되죠. 블렌드 모드는 블렌드 모드(Blend Mode) 또는 모드(Mode)라는 이름으로 포토샵의 여러 곳에서 발견됩니다. 아래 그림 외에서도 ~Mode라고 되어 있는 경우 블렌드 모드인 경우가 많습니다. 많이 나오는 걸 보니 매우 중요한 기능인 것이겠죠. 실제 블렌드 모드는 사진, 이미지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매우 중요한 기능입니다. 컬러와 광도, 빛의 대비 등 사진 및 영상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아주 도움이 되는 기능입니다. 블렌딩 모드에는 27개의 개별적인 모드가 존재하고 이들은 그 유사성.. 2020. 10. 21.
Blend if - II : 블렌드 이프 적용한 예 앞서 'Blend If'가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이번에는 실제 보정으로서 블렌드 이프를 적용하는 과정과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 간단한 보정을 위해 선택한 사진은 unsplash에서 free download 한 이미지입니다. 암부에 해당하는 청록색 의상을 블루로 바꿔보려는 계획입니다. 01. Adjustment Layer - Curve 실행합니다. 이제 커브를 적용한 어드저스트먼트 레이어가 상위레이어가 되었습니다. 프리 다운로드한 모델 사진은 아래 레이어가 된거고요. 상위 레이어에 블루를 입히기 위해 B(blue)를 선택하고 커브를 상향 조절합니다. 사진 전체에 푸른 컬러감이 높아졌습니다. 02. Adustment Layer를 2번 클릭해 Layer Style을 활성화해 줍니다. .. 2020. 10. 19.
Blend if - I : 블렌드 이프 적용방법 제가 사진보정이라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포토샵 기능 마지막 순서입니다. 블렌드 이프인데요. 두 번에 나누어 올릴 예정입니다. 블렌드 이프는 서로 다른 이미지나 레이어를 혼합하는 방법의 하나입니다. 보통 상품 사진 또는 상업 사진에서 필요한 이미지를 보정할 때 적용하곤 합니다. 저는 프로 상업 사진작가가 아니라 많이 사용하지는 않지만 가끔 사진에 분위기를 낼 때 사용하곤 하죠. 포토샵 열고 블렌딩 하려는 이미지 두 개 준비합니다. 01. 두 이미지 중 위 레이어를 더블클릭하면 레이어 스타일 창이 뜹니다. 상위레이어를 얼마나 보이게 할까를 담당하는 것이 This layer 슬라이드이고, 하위 레이어가 상위 레이어를 뚫고 올라와 드러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Underlying Layer 슬라이드입니다. 02... 2020. 10. 16.
Selective Color를 이용한 컬러그레이딩 눈길을 사로잡는 컬러 보정의 매력에 쉽게 빠지기도 하지만 쉽게 질리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 눈으로 익히고 기억하는 원래의 색과 가깝게 만들거나 오히려 컬러감을 많이 빼는 보정을 좋아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컬러 보정 방법 중 딱 두 개 [Selective Color]를 이용하는 컬러 그레이딩과 [Blend if]를 사용하는 컬러 그레이딩을 익혀서 살짝살짝 사용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바로 Adjustment Layer에서 선택하고 적용하는 Selective Color에 대해 아는 만큼 공유해보려고 합니다. 01. 언제나 그렇듯 포토샵을 열고 보정할 사진을 불러옵니다. 이 사진은 이미지 스톡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로드했습니다. 오른쪽 아래에서 [Adjustment Layer - Selective Color].. 2020. 10. 15.
하이패스(High Pass)를 이용한 인물 보정 앞서 주파수 분리를 통한 보정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몇 번 적용해보면 쉽게 익혀지지만 다소 복잡한 면도 없지 않죠. 고주파 영역과 비슷한 개념으로 High Pass 필터가 있습니다. 선과 경계를 강조하는 필터로 보통 사진을 선명하게 하는 데 사용하는 필터입니다. 하이패스 필터를 사용하면 좀더 간단하게 인물사진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보정할 인물 사진을 복사해 하이패스를 적용하면 인물의 피부질감과 머리카락 등 디테일한 요소를 포함하는 레이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레이어를 다시 복사해서 동일한 레이어를 만들고 모두가 잘 아는 [cmd+I]를 적용해 반전 데이터를 만듭니다. 즉 선과 점, 또는 디테일의 반전 데이터인 면의 데이터를 얻게 됩니다. 각각의 레이어에 마스크를 적용해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을 보정.. 2020. 10. 13.
주파수 분리 보정법 여전히 화보 같은 인물 사진을 찍을 계획도 없으며 상업사진을 찍는 것도 아니므로... 인물의 비율을 바꾸고 화장을 하듯 리터칭 하는 과정이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가족사진을 내 손으로 찍다 보니 부분적으로 생각이 달라졌습니다. 특히 어머니가 바라는 사진을 완성하려면 '웬걸?!' 인물사진 보정이 절대 필요했습니다. 내가 만족하는 사진 과정은... 그러니까... 익숙하고 비슷한 빛과 예상 가능한 어둠에 맞춰서... 나름의 준비되어 있는 나의 프리셋을 적용하기만 하면 되었는데 말이죠. 그런데 '세월이 만든 어머니 얼굴의 착색된 피부색과 깊은 주름을 어느 정도 살리고 제거해야 하는 가?!' 그리고 '그 결정이 만들어낸 결과'에 대한 평가는 촬영하고 보정한 내 몫이 아니었습니다. 모든 사람에게는 장르.. 2020. 10. 12.
포토샵 'Color Range'에서 광도마스크 만들기 오늘은 가을 하늘이 파랗고 가을 공기가 뽀송뽀송한 하루였습니다. 햇빛의 광도가 쨍쨍했죠. 오늘도 광도 마스크를 만드는 기초적인 수준의 포토샵 보정과정 공유해봅니다. 컬러보정 보다는 밝기와 텍스쳐에 공을 들이는 취향 때문에 자주 애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01. 포토샵 채널뿐 아니라 포토샵 '컬러 레인지'에서도 광도 마스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포토샵 Select → Color Range 순서로 들어갑니다. 02. Select를 펼치면 Highlights, Midtones, Shadows 선택이 가능한데 이름 그대로 Highlights는 명부, Midtone은 중간 밝기 영역 그리고 Shadows는 암부를 선택하게 됩니다. 즉, 광도 선택이 있어서 클릭만 하면 되네요. 채널에서 만드는 것보다 더 .. 2020. 10. 6.
채널에서 cmd+click 하고 '광도마스크' 만들기 처음 포토샵을 만났을 때는 이 정도로 생각했었죠. 환상과 가짜를 생산하는 뽀샵 프로그램 정도로 말입니다. 요즘은 루미나와 함께 사진을 보정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섬세하게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으로 나누어 보정하는 방법으로 광도 마스크를 이용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복잡해 보였는데 한 두 번 사진에 적용해보니 눈이 제법 번쩍 뜨이는 간단한 방법이었습니다. 색보정보다는 밝기와 어두움을 조절해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것을 선호하다 보니 '광도'라는 이름도 마음에 듭니다. 사진을 찍고 보정하는 일을 취미로 하시는 분들이라면 옛날 옛적부터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이지만 개인적으로 복습할 겸 그리고 배우는 과정을 기록할 겸... '겸사겸사' 정신으로 광도 마스크를 이용해 간단히 보정하는 방법.. 2020.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