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가을 하늘이 파랗고 가을 공기가 뽀송뽀송한 하루였습니다. 햇빛의 광도가 쨍쨍했죠. 오늘도 광도 마스크를 만드는 기초적인 수준의 포토샵 보정과정 공유해봅니다. 컬러보정 보다는 밝기와 텍스쳐에 공을 들이는 취향 때문에 자주 애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01. 포토샵 채널뿐 아니라 포토샵 '컬러 레인지'에서도 광도 마스크를 만들 수 있습니다. 먼저 포토샵 Select → Color Range 순서로 들어갑니다.
02. Select를 펼치면 Highlights, Midtones, Shadows 선택이 가능한데 이름 그대로 Highlights는 명부, Midtone은 중간 밝기 영역 그리고 Shadows는 암부를 선택하게 됩니다. 즉, 광도 선택이 있어서 클릭만 하면 되네요. 채널에서 만드는 것보다 더 쉬운 방법인 것 같습니다.
03. 원하는 광도를 선택하기 전에 Selection Preview에서 White Matte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작은 프리뷰 창에 흑백으로 표현돼있는 이미지를 기준으로 흰색 부분이 선택된 광도의 영역이고 검은색 부분은 그 외의 제외된 영역입니다. 반대로 실제 이미지상에서는 흰색으로 색이 빠져 있는 부분이 선택된 광도 영역이 아닌 밝기 영역입니다.
*Range 슬라이드를 이용해 선택한 광도 별 그 범위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채널에서 만드는 광도 마스크보다 좀 더 세밀한 조절이 가능하겠네요. Range 슬라이드 이동 포인트 오른쪽이 명부 영역이고 왼쪽이 암부 영역입니다. 따라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면 암부의 영역이 넓어지고 왼쪽으로 이동하면 명부의 영역이 증가합니다. 한편 중간 밝기(Midtone) 경우 슬라이드 이동 포인트가 두 개인데 이 두 포인트 사이가 Midtone 영역입니다. 두 포인트의 간격을 넓히면 중간 밝기의 영역이 넓어지겠죠.
*Fuzziness는 선택 영역과 비선택 영역 사이의 자연스러운 효과 적용 정도를 세팅하는 기능입니다. Feather값 적용과 유사한 개념이라고 이해되는군요.
04. 만족스럽게 원하는 광도와 그 영역이 선택되었다면 OK 누릅니다. 이 과정에서 RGB채널에서 [cmd+click]해서 광도 마스크를 생성했던 것처럼 선택된 광도의 데이터가 손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어서 채널로 들어가 아래 마스크 생성 버튼을 누르면 광도 데이터를 갖고 있는 알파채널이 생성됩니다.
광도 마스크가 잘 생성됐습니다.^^
보정 카테고리의 포스트는 MacOS, 포토샵CC 영문판에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와 다른 환경에서 실행하는 경우 상이한 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이론적 내용보다는 사진 보정에서 사용되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 작성했습니다. 포스팅의 내용 중 오류 또는 첨가해야 할 내용이 있을 경우 해당 글 내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오류 및 정보 수정이 필요한 경우 댓글로 지적해 주시기 바랍니다. 보정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unslash, pixabay 등에서 다운 받은 로열티 프리 이미지입니다.
'뷰파인더 > 컬러 · 보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end if - I : 블렌드 이프 적용방법 (0) | 2020.10.16 |
---|---|
Selective Color를 이용한 컬러그레이딩 (0) | 2020.10.15 |
하이패스(High Pass)를 이용한 인물 보정 (0) | 2020.10.13 |
주파수 분리 보정법 (0) | 2020.10.12 |
채널에서 cmd+click 하고 '광도마스크' 만들기 (0) | 2020.10.05 |
댓글